본문 바로가기
생활

카스테라 '가수저라' 알아보기

by why-not!
반응형

 

1. '가수저라'의 뜻

일본에 있는 나가사키라는 지역에서는 '카스텔라'라는 빵이 유명한데요. 카스텔라 빵의 이름은 원래 'castle:성'을 의미하는 포르투갈어 'castelo'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카스텔라'라는 빵의 모양이 커다란 도넛 모양을 하고 있어서 동그란 성벽모양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16세기 후반 임진왜란을 전후해 조선과 함께 일본에 카스텔라는 전래됐고, 포르투갈을 통해 일본에 알려진 다양한 음식 중에 당도가 높은 과자류 중 하나였다. 이후 일본에서는 카스텔라를 약간 변형하고, 업그레이드하여 일본 사람들이 좋아하는 콘셉트로 카스텔라를 만들었고, 이후에는 카스텔라가 일본뿐만 아니라 조선에도 전해졌다.

1636년 청나라에 의해 병자호란에서 조선이 패한 후, 조선의 사신들이 중국으로 끌려가 강제로 살게 되었는데, 포르투갈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예수회 선교사들이 카스텔라를 선물로 주었다고 합니다. 조선인들은 카스텔라를 한자를 소리(한자의 소리를 빌려 우리말로 표현하는 방식)로 하여 '가수저라(加須底羅)'라 불렀고, 만드는 법이 적힌 책도 가져왔다고 합니다.  '가수저라'는 조선시대에 사용된 한자 표기로, 일본에서 전래된 빵인 '카스텔라'를 뜻한다. 가수저라는 말은 한자로는 '加須底羅'로 쓰고, 각각 '설탕을 첨가하다', '해변의', '해변의'라는 뜻의 글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 카스텔라는 당시 설탕 함량이 매우 높았기 때문에 조선 학자와 일본 사무라이 모두 좋아했습니다. 포르투갈의 카스텔라는 오랜 시간 배를 타고 운반해야 했기 때문에 최대한 오래 보관하기 위해 설탕을 많이 넣어 만든 과자였다. 16세기 이후 서양에서는 사탕수수 재배방법이 발달하여 설탕이 풍부하게 되었지만, 동양에서는 여전히 설탕을 귀한 식재료로 여기며, 설탕 함량이 높은 음식은 귀족들의 사치품으로 여겨져 가난한 일반인들은 볼 수 있는 여유가 없습니다. 게다가 조선의 학자들도 이 음식을 좋아했습니다. 조선통신사가 일본을 방문할 때마다 카스텔라를 가져오라고 요청했다는 기록도 있다. 일본이 예산 부족으로 저녁 식사에서 카스텔라를 제외했을 때 조선 사신이 카스텔라를 제공하지 않는 이유를 궁금해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카스텔라는 일본과 조선 양 국가에서 많이 좋아하는 과자였으며, 일본에서 카스텔라를 맛본 조선통신사들이 왕이 있던 한양으로 돌아와 왕에게 보고했고 왕과 같이 나눠 먹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가수저라

 

2. 조선통신사의 업무

그럼, 조선통신사에 대해서 잠깐 말씀드리면, 조선통신사는 조선시대의 통신기관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소식 전달과 행정업무를 주로 담당했고, 조선통신사는 일본에서도 그 기능을 이어오며 주로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였다.

사행활동 : 조선통신사는 일본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왕조 간 대외교류와 관련된 역할을 담당하였다. 사신은 왕의 명을 받아 외교사절을 수행하며, 왕조 간 문서 교환, 협정 체결, 선물 교환 등을 주로 담당했다.

문화교류: 조선통신사가 일본에 파견되어 문화교류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들은 조선의 문화와 지식을 일본에 소개하고, 일본의 문화와 지식을 조선에 전하는 역할을 했다. 이는 양국 간 문화교류와 상호이해 증진에 기여했다.

정보수집 및 보고 : 조선통신사는 일본에 파견되어 현지 정황과 일본 동향을 수집하여 중앙정부에 보고하였다. 이를 통해 왕조는 일본의 상황을 이해하고 적절한 정책을 수립할 수 있었다.

외국 문서 번역: 조선통신사는 외국 문서 번역에도 역할을 했다. 외국 문서의 번역을 통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해졌습니다. 조선통신사는 일본과의 교류를 통해 외교, 문화, 정보교류 등 다양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조선의 국정운영과 정책수립에 큰 영향을 주었다.

 

조선통신사는 일본과의 교류를 통해 외교, 문화, 정보교류 등 다양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조선의 국정운영과 정책수립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합니다.

 

 

반응형